고양이 토하는 이유 구토 원인과 해결책, 노란색 토, 토하고 밥 먹여도 될까?
고양이는 특별히 문제가 없을 때도 구토를 할 수 있다. 구토를 하면서 헤어볼이 나오는 경우, 사료를 교체한 경우에는 일시적인 증상일 수 있으니 좀 더 지켜봐도 된다.
단, 구토를 하면서 식욕 저하가 동반되거나 눈에 띄게 기력이 떨어지거나, 체중 감소가 있거나, 구토가 1일 3~4회 이상 지속된다면 빨리 병원에 데리고 가야한다.
| 목차 1. 음식으로 인한 구토 2. 전염병 구토 3. 염증성 장질환, 장림프종 구토 4. 헤어볼 구토 5. 캣그라스 구토 6. 구토 원인을 밝히기 위한 검사방법 7. 원인에 따른 치료법 8. 구토 후 밥 먹여도 될까? 9. 노란색 액 구토 |
고양이가 토하는 여러가지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음식으로 인한 구토
- 사료나 간식을 바꾼지 2달이 되지 않았고 사료가 구토의 원인이라는 의심이 된다면 이전 사료로 교체하거나 새로운 간식을 중단하는 것이 좋다.
- 사료나 간식의 품질이나 성분을 떠나 고양이와 사료가 맞지 않아도 토할 수 있다.
- 많은 고양이들이 사료의 일정 성분을 소화하지 못하는 식이불내성이나 사료의 일부 성분 때문에 장에 알레르기 반응이 생기는 염증성 장질환 등을 가지고 있다.
- 장에 부담을 덜어주는 처방식 사료를 먹이는 게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2. 전염병 구토
- 6개월 미만의 어린 고양이가 구토를 하면서 밥을 먹지 않는다면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 특히 분양받은 지 2주가 안 된 고양이라면 전염병의 일종인 범백혈구감소증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있다. 이 때는 바로 병원으로 데려가야 한다.
3. 염증성 장질환, 장림프종에 의한 구토
- 관심 있게 봐야 할 구토의 원인 중 염증성 장질환과 장림프종이 있다. 이 질병의 공통점은 만성적으로 구토를 유발한다는 점과 여러 가지 검사를 해도 명확한 진단이 어렵다는 점이다.
- 둘 다 배를 열어 장의 일부를 떼어낸 후 조직 검사를 해야 확진할 수 있어 쉽게 검사하기 어렵다.
- 이 때 복부초음파 검사 등으로 진단을 하기도 하지만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니다.
- 고양이가 만성 구토로 고생하는데 병원에서 여러 가지 검사를 해봐도 원인을 찾지 못했다면 혹시 이런 질병은 아닌지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4. 헤어볼 구토
- 고양이는 주기적으로 그루밍을 하는데 이 때 털을 삼키곤 한다.
- 위로 들어간 털의 일정 부분은 소화가 되지 않은 채 변을 통해 나오지만 위에 오랫동안 뭉쳐 남아 있는 털도 생긴다.
- 털뭉치는 위를 자극하고 장운동을 막는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 고양이는 주기적으로 구토를 해서 이렇게 쌓인 털뭉치를 토해낸다.
- 이 털뭉치를 헤어볼이라고 하는데 이름처럼 동그랗게 생긴 것은 아니다.
- 헤어볼을 토하는 것 자체는 문제가 아니지만 너무 자주 반복된다면 큰 털뭉치가 장을 막아 문제가 생기기 전에 조치를 취해야 한다.
- 가장 좋은 방법은 주기적으로 빗질을 해서 고양이가 털을 많이 먹는 것을 막는 것이다.
- 털이 덜 엉키고 윤기가 나게 하는 사료나 영양제를 먹이거나 헤어볼 방지 사료를 먹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5. 캣그라스 구토
- 캣그라스라는 특정한 식물이 있는것은 아니다. 고양이가 먹어도 되는 식물을 통칭 캣그라스라고 한다.
- 고양이는 캣그라스를 소화제 먹듯 섭취하며 가끔은 구토를 위해 섭취하는 경우도 있다.
- 헤어볼 등으로 속이 불편해 구토를 하고 싶을 때 캣그라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 대표적인 캣그라스는 귀리, 호밀, 보리, 밀 등이다.
6. 구토 원인을 밝히기 위한 검사방법
> 췌장염 키트 검사
구토를 심하게 할 때 반드시 체크해야 할 검사 중 하나는 췌장염이다. 주로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었을 때 의심할 수 있다.
키트에 혈액을 넣으면 잠시 후 결과가 나타난다.
> 전혈구 검사로 염증, 빈혈 확인
전혈구 검사로 염증과 빈혈을 체크할 수 있다. 염증 수치인 WBC가 증가하면 여러 원인 중 염증이 동반된 질병을 의심할 수 있다.
대부분의 염증성 질병은 구토를 동반한다. 또한 빈혈 수치인 Hct가 감소하면 각종 빈혈이 동반되는 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 혈청생화학 검사로 당뇨, 간 질환 체크
혈청생화학 검사는 구토의 원인 중 주로 장기의 기능 저하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들어 글루코스의 증가는 당뇨병을 의미하며, 간 수치의 증가는 간 질환을, 신장수치의 증가는 신장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 기타 검사
구토의 원인을 찾기 위해 추가로 초음파 검사, 소변 검사, 분변 검사, 호르몬 검사 등을 할 수 있다.
또 내시경 검사로 식도, 위 내 이물, 위염, 위암 등을 진단할 수 있다.
7. 구토 원인에 따른 치료법
- 스트레스를 받거나 음식이 문제인 가벼운 위장관 질환은 증상을 완화하는 처치만 받아도 1주일 내에 좋아진다.
- 구토가 심하면 항구토제, 염증 수치가 증가했다면 항생제, 구토를 많이 해서 탈수가 심하다면 수액 처치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킨다.
- 단순 위장염이 아니라 원인이 따로 있는 질환이라면 그 원인을 해결하는 치료를 받아야 한다.
8. 구토 후 밥 먹여도 될까?
- 예전에는 구토를 하면 밥도 물도 먹이지 않는 것이 좋다고 했지만 최근 연구 결과는 오히려 밥을 먹여야 빨리 회복된다는 게 정설이다.
- 강제로 밥을 먹일 필요는 없지만 구토를 해도 입맛이 살아 있으면 밥을 먹도록 유도 하는 것이 좋다.
- 당연히 물도 많이 마시는 것이 좋다.
- 구토로 인해 탈수 뿐 아니라 전해질이 빠져나오는 것이 걱정된다면 이온음료 등을 줘도 된다.
- 다만 구토가 심한데 밥까지 먹지 않는다면 좀 더 심각한 질병일 가능성이 높으니 동물병원에 꼭 데려가자.
9. 노란색 액 구토
- 구토를 할 때 노란색 액이 나온다면 위산일 가능성이 높다.
- 위는 항상 위액을 분비하는데 공복 시간이 길어지면 위액이 위를 자극해 구토를 유발한다.
- 특히 아침에 구토를 하면 공복으로 인한 구토일 가능성이 높다.
- 이럴 땐 공복 시간을 줄이는 것이 효과적이며 중간중간 밥이나 간식을 조금씩 주는 것이 좋다.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고양이 변비 원인 변비약 관장 치료법 관리법 (0) | 2024.04.04 |
|---|---|
| 고양이 황달 지방간 간수치 간부전 간 질환 원인 증상 치료법 (0) | 2024.04.04 |
| 고양이 폐렴 치료법 원인 증상 입원해야 할까? 통원치료하는 법 (1) | 2024.03.22 |
| 고양이 감기 허피스 바이러스 원인 증상 치료법 먹는약 안약 (1) | 2024.03.22 |
| 고양이 예방접종 시기 종류, 필수 백신, 접종 스케줄, 부작용 (0) | 2024.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