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57

육친의 종류 - 편관 정관 편인 정인 1. 편관 편관은 나(일간)을 극하고 음양이 같은 경우를 말한다. 편관은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순서대로 보면 일곱 번째에 해당한다고 해서 칠七, 나(일간)을 극한다고 해서 살殺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일명 칠살이라고 하는데, 보통 칠살을 흉신으로 보아 나쁜 육친 중의 하나라고 설명한다. 나를 극하는 오행이기 때문에 나쁜 육친이라고 단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간의 힘이 막강할 때는 나를 극하는 편관이나 정관이 오히려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육친이든 단순하게 이 육친은 좋고 저 육친은 나쁘다고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을 염두해두어야 한다. ▷편관에 해당하는 것 갑 일간일 때 경, 신 을 일간일 때 신, 유 병 일간일 때 임, 해 정 일간일 때 계, 자 무 일간일 때 갑, 인 .. 2021. 6. 17.
공황장애 자가진단 테스트 M.I.N.I 공황장애 자가진단 테스트 M.I.N.I는 '미니 국제신경정신인터뷰'의 약자로 단시간이 실시할 수 있는 정신장애 진단용 질문지다. A. 다른 사람은 아무렇지 않은 상황에서 갑자기 불안, 두려움, 불쾌감, 숨 막힘을 동반하는 발작을 2회 이상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 예 → B로 진행 아니오 → F에 '아니오'로 표시하고, I로 진행 B. 그 발작이 10분 안에 정점에 달했습니까? 예 → C로 진행 아니오 → F에 '아니오'로 표시하고, I로 진행 C.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발작이 갑자기 일어났거나 이유가 확실치 않은 상황에서 발생한 적이 있습니까? 예 → D로 진행 아니오 → F에 '아니오'로 표시하고, I로 진행 D. 발작이 일어난 후, 재발작에 대한 두려움 또는 발작 때문에 뒤따르는 상황에.. 2021. 6. 16.
육친의 종류 - 식신 상관 편재 정재 육친 종류 - 비견 겁재 1. 식신 식신은 내(일간)가 생하면서 음양이 같은 경우를 말한다. 식신은 말 그대로 '밥 귀신'이란 의미이며, 편관을 극한다고 해서 수성이라고도 부른다. 일반 이론에서는 편관이 일간을 극한다고 해서 나를 죽이는 육친으로 보아 '살'이라고 부르고, 육친 중 일곱 번째에 해당한다고 하여 칠七을 붙여서 '칠살'이라고 한다. 편관을 육친 중에서 가장 나쁘게 보는데, 이 편관 즉 칠살을 극하는 것이 바로 식신이기 때문에 나(일간)의 목숨을 살려준다고 해서 목숨을 살려주는 별의 호칭인 '수성'이라고 한다. ▷식신에 해당하는 것 갑 일간일 때 병, 사 을 일간일 때 정, 오 병 일간일 때 무, 진, 술 정 일간일 때 기, 축, 미 무 일간일 때 경, 신 기 일간일 때 신, 유 경 일간일 때.. 2021. 6. 16.
당뇨병 환자 식단 식이요법 필수 영양제 영양소 5가지 당뇨병 환자가 필수로 섭취해야 할 영양제 영양소 당뇨병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이 혈당 조절이다. 그러나 혈당 조절만으로 당뇨 합병증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한 일이다. 당뇨병은 크게 두 가지 목표를 두고 치료하게 된다. 첫째는 혈당 조절이고, 또 하나는 합병증 예방이다.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둘 중 하나인 혈당 조절에만 집착한다. 그러나 당뇨병 환자에게 필요한 영양소를 적극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당뇨 합병증을 막는 막는데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당뇨병은 몸 속의 중요한 영양소를 계속 빠져나가게 한다. 신장이 과도한 혈당을 다량의 소변으로 내보낼 때 많은 양의 영양소도 함께 빠져나간다. 이 소실된 영양소를 보충하지 않으면 삶의 질도 떨어지고 수명도 단축된다. 지금 당뇨병을 앓.. 2021. 6.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