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57

머위 키우기 물주기 번식방법 & 머위잎 꽃 효능 먹는법 우리 주변에서 쌈으로 이용할 수 있는 식물로는 머위, 민들레, 고들빼기, 섬초롱 등이 있고 샐러드로 이용할 수 있는 식물로는 돌나물, 체리세이지, 패랭이, 로즈마리, 바질, 로켓, 나스터튬, 차빌 등이 있다. 오늘은 그 중 쌈으로 이용하기에 좋은 머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1) 머위 효능 도시 근교의 시골마을에만 가도 담장 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아주 친근한 식물 중의 하나이다. 머위의 꽃봉오리는 건위, 진해, 해열, 고혈압에 효과가 있으며 식욕을 증진하는 약이 되기도 한다. 약리 효과로는 기침, 담, 기관지 천식, 건위, 해열, 종기, 뱀, 벌레 물린 상처 치료, 화상, 복어탕 중독, 주독에 좋은 효과가 있어 요즈음 건강 식품으로서 염장 가공하여 일본에 수출도 이루어지고 있다. 2) 머위 활용법.. 2022. 6. 6.
참나리 키우기 재배법 번식 구근 뿌리 열매 맺기 꽃피는 시기 & 효능 1) 참나리 효능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나리류들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종으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다. 씨가 잘 생기지 않는 대신에 엽액에 어린 구근인 주아가 많이 달린다. 전국 각지의 산야지, 집 근처의 둑이나 섬지방의 해변 산기슭 등에 흔히 자생하며 관상초로 심기도 한다. 비늘 줄기인 인경을 영양 및 강장제로 사용하고 민간에서는 진해제로 사용한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한방과 민간에서 자양, 강장, 건위, 종독(종기의 독기) 등에 약으로 쓰인다. 예로부터 참나리는 100개의 비늘 줄기가 합하여 알뿌리를 만들어 백합이라고도 한다. 2) 참나리 활용법 정원이나 노지의 화단에 군식하거나 큰 화분에 심어 감상하면 좋고 가정에서 키워 절화용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특히 키가 높게 자라므로 다른 자생식물들과 함.. 2022. 5. 27.
개미취 벌개미취 키우기 구별법 번식방법 물주기 & 효능 나물 먹는법 1. 개미취 1) 개미취 효능 개미취의 어린순은 나물로 하며 뿌리와 풀은 진해거담제로 사용된다. 민간치료법으로는 줄기와 꽃, 뿌리를 함께 달여 설사, 신경쇠약, 어린이들의 기침약으로 쓴다. 개미취의 뿌리는 독성이 거의 없어 몸이 허약한 노인이나 어린이도 마음놓고 먹을 수 있는 약재이다. 뿌리를 캐 그늘에서 잘 말려 비를 맞지 않는 곳에 걸어 두고 필요할 때 조금씩 달여 마시면 된다. 겨울철 감기가 심할 때는 개미취 뿌리를 끓여 묽게 한 것을 차 대신 마시면 감기를 예방할 수 있다. 2) 개미취 활용법 & 먹는법 개미취는 취나물 중의 하나로 봄철 부드러운 싹은 뜯어서 나물로 무쳐 먹으나 쓴맛이 강하므로 데쳐서 여러 날 동안 흐르는 물에 쓴맛을 우려낸 다음 잘 말려서 보관했다가 필요할 때 조금씩 조리해서 먹.. 2022. 5. 27.
민들레 키우기 번식방법 & 효능 먹는법 1) 민들레 효능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민들레는 관상용이나 밀원용으로 쓰이고 어린잎은 식용하며 한방에서는 약재로도 쓰이는 식물이다. 민들레의 뿌리가 달린 전초를 포공영이라고 하며 해독, 이뇨의 효능이 있고 급성 유선염, 림프선염, 급성 결막염, 감기발열, 위염, 요로감염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서양 민들레는 민들레와 비슷하지만 꽃받침이 지저분하고 아래도 젖혀진다. 노란 민들레꽃이 지고 난 후 하얀 솜털이 붙어 있는 민들레 씨를 훅 불어서 낙하산처럼 날리며 놀았던 어릴적 추억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민들레의 이름은 사나운 사자 이빨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이 유래대로라면 민들레의 잎이 사자의 이와 유사해서 민들레가 되었다는 것이다. 2) 민들레 활용 & 먹는법 민들레의 어린 싹은 무침, 큰 .. 2022. 5.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