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57

강아지 눈꼽 충혈 결막염과 눈물 원인과 치료 유루증 강아지 눈곱(눈꼽)이 끼고 충혈되는 증상 강아지 결막염은 안과질환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질병이다. 결막염은 단순히 결막이 자극되거나 감염되어서 나타나기도 하지만, 각막이나 포도막 등 결막 외 질환이 있을 때 동반되는 증상이기도 하다. 강아지 소변 급성신부전증 1) 강아지 결막염 원인 결막의 자극 결막의 감염(세균, 기생충) 각막이나 포도막 등 결막 외의 질환 눈물양 부족 2) 결막염 치료 안과 검진을 통해 각막이나 포도막, 망막 등 결막 외의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 단순 결막염인 경우 눈세정제나 간단한 안약 등으로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안충이라는 눈 안에 기생충이 있는 경우도 결막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결막을 뒤집어서 안충 여부도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안충이 있을 경우 일단 보이는 것은 다 제.. 2021. 8. 7.
강아지 소변을 시원하게 못 볼때, 급성 신부전증 원인과 치료 강아지 소변을 시원하게 못 보는 증상 강아지가 소변을 시원하게 못 보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 방광에서 배출이 잘 안되는 경우, 신장에서 소변이 안 만들어 지는 경우다. 강아지 물 많이 먹는 이유 소변량 당뇨병 강아지 혈뇨, 오줌 냄새가 심할 때 강아지 방광에서 배출에 문제가 있을 경우 주로 요도나 방광 입구 등 소변의 배출로에 문제가 있을 경우다. 이로 인해 방광 확장, 배뇨할 때 오래 걸리거나 통증을 호소하는 배뇨 곤란, 배뇨실금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원인 방광 입구의 종양이나 염증으로 인한 점막 비후 방광 내 부유물 방광 및 요도의 결석 방광 파열 요도의 폐색(요도 종양이나 수컷 강아지들의 경우 전립선 비대로 인해 발생) 요도의 기형(이소성 요도) 척수신경의 손상 배출이 .. 2021. 8. 6.
토란 키우기 재배법 파종 시기 토란대 알토란 수확 방법 1) 토란 재배 특성 1. 토란은 밭에서 가장 습한 곳을 택해서 재배한다. 그러나 물이 늘 고여 있는 밭은 적합하지 않다. 사질토에서 재배한다면 두둑을 만들지 말고 짚이나 낙엽을 두툼하게 덮어 땅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해주자. 2. 이어짓기 장해가 발생하므로 한 번 재배한 곳에서는 4~5년간 재배하지 않는다. 파프리카와 피망 키우기 2) 토란 밭 만들기 보습력이 좋은 밭에 심는다. 두둑의 너비 90cm, 높이 15cm 정도로 하면 적당하다. 크게 자라는 작물이지만, 거름이 많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씨뿌리기 2주 전에 포기당 유기질 비료 두 줌씩을 주는 정도로 밑거름을 넣고 흙과 잘 섞는다. 3) 토란 재배방법 1. 파종시기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난다. 대체로 벚꽃이 필 무렵 심으면 적당하다. 씨토란은.. 2021. 8. 6.
파프리카와 피망 키우기 재배방법 파종 수확시기 1) 파프리카와 피망 재배 특성 1. 파프리카와 피망은 가짓과 작물로 이어짓기 피해가 발생한다. 고추의 사촌 격으로 생긴 모양도 기르는 방법도 고추와 흡사하다. 2. 산성토양에 약하므로 고토석회로 토양을 중화한다. 고추와 같은 가짓과이나 여름철 무더위와 병충해에 강해 고추보다는 기르기 쉽다. 3. 피망은 처음에는 녹색 열매가 달리지만 익으면 고추처럼 붉어진다. 파프리카는 녹색 열매가 달렸다가 빨강, 노랑, 주황색 등을 띤다. 4. 파프리카 열매가 피망 열매보다 크고, 육질도 두껍다. 파프리카는 열매가 큰 만큼 숫자는 적다. 파프리카와 피망 모두 고추와 달리 말리거나 가루 내지 않고 생것으로 샐러드를 만들어 먹거나 볶아서 먹는다. 파프리카 효능 색깔별 먹는방법 2) 파프리카와 피망 재배방법 파프리카와 피망.. 2021. 8. 6.
우엉 키우기 재배법 파종 수확 심는시기 1) 우엉 재배 특성 1. 우엉은 뿌리를 깊이 내리는 작물이므로 땅을 깊숙이 갈아준다. 산선토양을 싫어하므로 고토석회로 중화한다. 이어짓기 피해가 심한 작물이므로 한 번 심은 곳에서는 4~5년이 지난 후에 재배하도록 하자. 2. 우엉은 싹 틔우기가 잘 안되는 작물이다. 특히 오래된 종자는 발아율이 현저히 떨어진다. 따라서 종자를 살 때 채종 및 포장 일자를 잘 살펴보자. 재배 기간은 길지만, 손이 거의 가지 않아 기르기 쉽다. 3. 우엉은 식이섬유가 풍부해 장운동을 원활하게 도와주고, 동맥경화나 암 예방에도 효능이 있다. 우엉, 우엉차 효능 영양 2) 우엉 밭 만들기 1. 우엉은 뿌리가 깊이 내려가는 작물이다. 따라서 흙이 부드럽고 토심이 깊되 파내기 쉬운 장소에 심어야 한다. 산성토양을 싫어하므로 밑거.. 2021. 8. 6.
작두콩 키우기 재배방법 파종 수확 심는시기 1) 작두콩 재배 특성 & 효능 1. 작두콩은 덩굴을 뻗는 데다가 잎이 넓은 작물이므로 작은 텃밭에 재배하기에는 비효율적이다. 밭 한쪽에 키 큰 나무나 벽이 있다면 덩굴이 타고 올라가도록 유인함으로써 밭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2. 껍데기가 두꺼워 발아가 잘 안되므로 미리 껍데기를 자르고 젖은 수건 등으로 씨를 담그고 씨앗을 뿌리는 것이 좋다. 3. 작두콩은 다양한 효능이 있다. 작두콩차를 주로 많이 마시는데, 비염, 축농증, 치질, 편도선염, 중이염, 종기, 화농성 질병에 효과가 탁월하다고 한다. 4. 위와 장의 기능을 튼튼하게 하고 구토, 복통, 설사, 변비에도 좋다. 뱃속이 더부룩하고 소화가 되지 않을 때 작두콩차를 마시거나 가루로 만들어 먹으면 좋다. 5. 어혈을 삭이고 혈액순환을 좋.. 2021. 8. 5.
강낭콩 키우기 재배법 파종 수확 심는시기 1) 강낭콩 재배 특성 1. 강낭콩은 재배하기 쉬운 작물로 완두콩과 더불어 새 피해가 별로 없는 콩이다. 메주콩이나 서리태를 파종하고 나면 비둘기가 땅을 파서 찾아 먹는데, 강낭콩은 땅 위로 씨앗이 나와 있어도 피해가 없다. 2. 강낭콩은 이어짓기 장해가 특히 심한 작물이므로 3~4년 간격을 두고 재배하는 것이 좋다. 진딧물이 많이 발생하므로 설탕물이나 먹고 남은 우유 등을 희석해서 자주 살포해야 한다. 3. 일반 작물의 경우 진딧물이 텃밭 농사를 망칠 정도는 아니지만 강낭콩은 진딧물 피해가 굉장히 심해서 그냥 내버려두면 수확을 거의 못할 정도이므로 반드시 퇴치하도록 하자. 히카마 얌빈 키우기 여주 키우기 2) 강낭콩 종류 강낭콩은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덩굴을 뻗으며 자라는 만성종과 덩굴을 뻗지 않고.. 2021. 8. 5.
히카마 얌빈 키우기 재배방법 파종 심는시기 수확 1) 히카마 얌빈 재배 특성 1. 히카마는 멕시코 감자라고 불린다. 싹 틔우기가 어려우므로 모종을 구할 수 있다면 모종으로 심는 것이 좋다. 아직 국내에 많이 알려지지 않아 모종이 나와 있는 곳을 찾기 어려울 것이다. 2. 직접 씨앗을 곧뿌림할 경우 싹이 나기도 전에 풀이 밭을 점령해버린다. 따라서 밭에 바로 씨앗을 뿌리지 말고 포트에서 파종해 육묘하는 것이 좋다. 3. 덩굴식물이라 지주가 필요한 작물이며 땅속에 자라는 덩이뿌리를 먹는다. 지상부에 꽃이 핀 후에 달리는 콩은 살충제로 쓰이는 화학물질인 로테논을 함유하고 있어 매우 유독하다. 절대 절대 먹어선 안된다. 4. '얌빈'으로도 불리며 멕시코 원산으로 미국과 유럽에서는 뛰어난 건강 식품으로 쓰인다. 물기가 많고 아삭아삭 하며 맛이 순무와 배, 마를.. 2021. 8. 4.
여주 키우기 재배방법 파종 수확 심는시기 1) 여주 재배 특성 1. 여주는 발아 적정 온도가 25~28℃로 높은 편이므로 기온이 충분히 올라간 뒤에 파종 한다. 일찍 파종하면 싹을 틔우기 어렵고, 늦게 파종하면 생육 기간이 짧아 불리하므로 모종을 사서 심는 것이 좋다. 2. 덩굴을 유인해서 통풍이 잘되도록 해주어야 한다. 수확이 늦어지면 열매가 주황색으로 변하면서 과피가 찢어지고 씨앗이 나온다. 열매가 아직 녹색일 때, 조금 미숙한 열매를 수확하도록 하자. 3. 곁가지 제거 작업, 지주와 망 설치 등이 성가시지만 병해충에 강해 초보자도 기르기 쉽다. 비타민 C 함유량이 매우 높다. 4. 대부분의 토양에서 잘 자라지만 날씨가 따뜻한 지역에서 키우기가 쉽다. 박과 작물을 심었던 자리에 심으면 이어짓기 장해가 심하게 발생한다. 파를 심었던 자리에 재.. 2021. 8.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