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56

심장과 항암에 좋은 치커리 수경재배법 파종시기 치커리 ▷ 치커리 특성 1. 치커리는 크게 세 가지 품종으로 나눌 수 있다. 잎을 먹는 잎 품종과 뿌리를 먹는 뿌리 품종, 그리고 잎자루가 붉은 색인 적치커리가 있다. 2. 치커리는 유럽에서 남쪽으로는 북아프리카, 동쪽으로는 중앙아시아까지가 원산지인데 보통은 지중해 일원을 원산지로 보고 있다. 3. 뿌리 치커리 - 뿌리를 익힌 뒤 양념을 발라 먹을 수 있고 불에 구워서 커피 대용품을 만들 수 있다. 실제 대공황기에는 미국과 유럽에서 커피가 비싸지자 구운 치커리 뿌리 분말을 많으면 40%까지 커피와 섞어서 커피처럼 팔거나 마셨다. - 어떤 양조업자는 맥주의 쓴맛을 보강하기 위해 치커리 뿌리를 사용하였다. - 신선한 치커리 뿌리에는 13~23% 분량의 이눌린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당뇨식으로도 아주 훌륭하다. .. 2023. 2. 12.
비트 적근대 사탕무 빨간무 수경재배법 효능 비트 & 적근대 ▷ 비트 적무, 빨간무, 사탕무라고도 불리우는 비트는 붉은색의 둥근 무처럼 생긴 뿌리가 달리는 뿌리 작물이다. 비트 모종의 뿌리는 실뿌리 형태이지만 점점 자라면서 실뿌리 중 하나가 무처럼 둥글게 변한다. ▷ 적근대 적근대는 비트의 유사종인데 사실상 같은 식물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뿌리를 먹기 위해 개발된 품종들은 비트, 잎을 먹기 위해 개발된 품종은 적근대이다. 수경재배는 비트나 적근대 중 아무거나 선택해서 재배한다. > 비트의 원산지는 아랍 지역이며 나중에 로마를 통해 유럽에 전래되었다. 아랍에서의 비트는 잎을 먹기 위한 작물이었는데 로마를 경유하면서 뿌리를 먹는 작물로 변했다. > 적근대는 쌈채소로 먹기 위해 재배하는 반면, 비트는 뿌리를 먹기 위해 재배하지만 어린 잎은 샐러드로 섭취.. 2023. 1. 31.
당뇨에 좋은 삼채 수경재배법 키우기 & 효능 뿌리와 잎 먹는방법 * 삼채 ▷ 삼채 특성 1. 쓰고 맵고 달다. 세 가지 맛을 내서 삼채라고 부른다. 2. 수선화과 식물인 삼채는 부추와 비슷한 식물이지만 잎이 부추와 달리 다육질이고 두툼하다. 3. 원산지는 인도, 티벳, 미얀마, 남중국 등이며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채소처럼 식용한다. 4. 국내에서는 삼채의 뿌리가 고혈압과 당뇨에 좋다고 하여 인기를 끌었고 그 후 꾸준히 소비되고 있다. 5. 삼채의 주산지는 히말라야 산맥의 해발 1,400~4,200m에 있는 초원지대, 언덕, 숲가, 습한 지역이고 스리랑카와 부탄에서도 자생한다. 6. 삼채는 줄기가 없고 뿌리에서 올라온 잎이 길이 60cm정도 자란다. 7. 날씨가 풀리면 꽃대가 자라면서 부추나 대파 꽃러럼 자잘한 꽃들이 작은 공처럼 모여 달린다. 8. 뿌리는 가늘지만 살이.. 2023. 1. 31.
셀러리(샐러리) 수경재배법 효능 먹는법 셀러리 ▷ 셀러리 특성 1. 서양에서 많이 먹고 요즘엔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먹고 있는 셀러리는 중동과 지중해가 원산지이며 고대부터 재배해 온 식물로 유명하다. 2. 고대 그리스와 로마는 셀러리를 향신료 채소로, 중국인들은 의약품으로 사용하였다. 3. 먹는 부위는 잎과 줄기이고 종자는 향신료, 식물체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약용한다. 4. 셀러리는 원줄기와 함께 줄기 둘레에서 튼튼한 잎자루가 위로 자란다. 5. 잎의 모양은 깃꼴곂잎이고 잎자루를 포함해 최대 1m 높이까지 자란다. 6. 뿌리는 순무와 비슷하기 때문에 나라에 따라 셀러리 뿌리를 식용하는 나라도 있다. 7. 셀러리의 맛은 약간 단맛에 상큼한 향미가 있어 주방에서 각종 요리를 할 때 조미료처럼 넣을 수 있다. 8. 셀러리는 투입량에 따라 음식 맛이 .. 2022. 1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