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308

목단(모란) 목단피 키우기 & 목단뿌리 효능 부작용 & 먹는법 - 3편 1) 목단(모란) 병충해 예방법과 제거 병해 모란에 발생하는 주요 병해는 잿빛곰팡이병, 흰비단병, 녹병 등이 있다. 1. 잿빛곰팡이병 이른 봄 꽃봉오리, 꽃잎 및 잎자루에 발생하는데, 피해가 심해지면 점차 줄기까지 말라죽게 된다. 질소비료가 과다하거나 비가 자주 오면 심하게 발생된다. 방제방법으로 햇빛이 잘 들고 통풍이 잘 되는 동남향의 밭에 심도록 하며, 질소비료를 과다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배수가 잘되도록 관리해줘야 한다. 발병되기 전에 6-6식 보르도액을 뿌려주면 효과가 좋다. 2. 흰비단병(백견병) 흰비단병이 생기면 줄기의 지상 접촉 부위에 갈색의 균핵이 형성되고 주위의 흙에는 백색의 균사가 퍼지는데, 6~9월에 많이 발생한다. 흰비단병은 줄기의 지상 접촉 부위로부터 뿌리에 피해를 주므로 발견되는.. 2021. 10. 15.
우슬(쇠무릎) 키우기 재배법 채종 파종 심는시기 - 1편 우슬 키우기 1편 1) 우슬(쇠무릎) 특성 1. 우슬은 쇠무릎이라고 불리는 비름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뿌리는 거친 수염 모양이고 줄기는 네모형이며 다갈색으로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크기가 50~100cm정도이며 마디는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다. 2. 잎은 장타원형 또는 타원형의 도란형에 서로 마주 나고 잎 양끝은 좁고 털이 약간 나 있다. 3. 꽃은 수상화서로 가지 끝이나 잎 겨드랑이에서 양성으로 밑에서 위로 피어 올라가며 모두 밑으로 굽어져 있다. 흑색의 꽃이 8~9월에 피고 열매는 타원형에 광택이 있고 종자는 한 개씩 들어 있고 황갈색이다. 4. 쇠무릎은 마디 부위가 굵어 황소의 무릎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가을에 열매가 성숙하고 나면 스치는 옷자락에 붙어 먼 곳까지 이동하여 번식하는 식물.. 2021. 10. 14.
우슬 재배법 뿌리 효능 부작용 먹는방법 우슬주 담그는법 - 2편 1) 우슬 채취시기와 가공법 우슬은 뿌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우슬 뿌리는 12월경에 채취하는데 수염뿌리와 흙을 제거하고 건조시킨 후 잘게 썰어서 생약재로 사용하면 된다. 우슬은 늦가을에서 겨울에 걸쳐서 지상부가 말라서 죽을 무렵 뿌리를 채집하여 햇볕에 건조하여 사용한다. 골담초 키우기 효능 2) 우슬 뿌리 성분 우슬 뿌리에는 식물 호르몬의 일종인 엑다이스테론, 이노코스테론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밖에도 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아스파라긴산, 아미노산, 호박산 등이 포함되어 있다. 3) 우슬 효능 & 부작용 우슬은 신경통, 관절염에 특이한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민간약으로 많이 써왔을 뿐만 아니라 현대의 생약으로 우수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해열, 진통 작용이 있어서 학질, 인후통, 편두통, 몸살 등에도.. 2021. 10. 14.
지황(생지황/건지황/숙지황) 키우기 재배법 - 1편 지황키우기 1편 1) 지황 특성 1. 지황은 우리나라에서 전국적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지황은 현삼과에 속하며 잎자루가 있으며 타원형에 끝이 뭉뚝하고 잎 밑에 쐐기모양의 자국이 있고 줄기 및 잎 전체에 잔털이 많다. 2. 지황 꽃은 6~7월쯤에 홍자색으로 피며, 과실은 타원형의 삭과로서 9~10월경에 결실한다. 뿌리는 굵은 근경인데 이것을 약용으로 쓴다. 3. 주로 물빠짐이 좋고 토심이 깊은 식양토나 사양토로서 유기물 함량이 많은 곳이 좋다. 배수가 불량한 곳에서는 뿌리썩음병이 많아진다. 4. 지황은 조제법에 따라 땅에서 파내어 씻은 그대로를 생지황, 생지황을 그대로 말린 것을 건지황, 생지황을 쪄서 말리면 새까맣고 끈적끈적하게 된 것을 숙지황이라고 한다. 5. 지황은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으로 구분.. 2021. 10.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