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308 삼지구엽초(음양곽) 키우기 재배법 모종 번식방법 - 1편 삼지구엽초 재배 2편 1) 삼지구엽초(음양곽) 특성 1. 삼지구엽초는 구릉이나 산의 반음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의 모양이 '배의 닻'과 닮았다고 해서 '닻꽃'이라고도 불린다. 2. 3개의 가지가 각각 3개로 나뉘어져서 모두 9장의 작은 잎이 생기기 때문에 삼지구엽초라고 한다. 3. 줄기는 곧게 서고 크기는 높이가 30~40cm정도이며 한 포기에서 여러 줄기가 올라와 자라고 있다. 뿌리의 근경은 열을 지어 뻗으며 잔뿌리가 많이 달려 엉켜 붙어 땅속으로 번식해 나간다. 4. 적은 잎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은 심장형이며 잎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가 나와 있다. 5. 꽃은 총상화서에 아래로 향하여 달리고 4~5월에 황백색 혹은 연보라색, 백색 등의 꽃이 된다. 열매는 방추형이며 6~7월에 .. 2021. 10. 16. 삼지구엽초(음양곽) 키우기 재배법 채취시기 & 효능 & 먹는법 - 2편 1) 삼지구엽초(음양곽) 재배방법 삼지구엽초 시비 정식 전에 퇴비를 시용하고 경운하여 로타리 작업을 하고 매년 새로운 근경이 신장해 나갈 수 있도록 경엽의 출현 전에 표층 시비를 해주면 된다. 뿌리 삽목을 할 때의 적정 질소 시비량은 10a 기준으로 3kg이며 그 이상을 사용하면 제대로된 삼지구엽초 수확 비율이 낮아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프로폴리스 궁합 칼로리 삼지구엽초 밭 관리법 1. 햇빛 가림 생육 초기에 햇빛 부족으로 인하여 웃자라지 않을 정도의 차광이 필요하다. 정식을 하기 전 70% 차광망을 설치해주면 좋다. 2. 물 관리 정식 후 충분히 관수를 해서 활착을 도와야 한다. 항상 높은 습도를 유지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포인트다. 3. 제초 제초는 수시로 해준다. 특히 명아주, 냉이, 여뀌, 닭의장풀.. 2021. 10. 16. 목단(모란) 목단피 키우기 재배법 채종 파종 - 1편 모단(모란) 키우기 2편 1) 목단(모란) 특성 1. 목단은 모란이라고도 불린다. 높이는 2m에 달하고 가지가 굵고 털이 나 있다. 모란꽃은 5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지름이 15cm 이상이고 가지 끝에 1개씩 달려 있고 매우 화려하고 아름답다. 2. 꽃잎은 8매 이상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결각이 있고 많은 수술과 2~6개의 암술이 있다. 3. 목단 열매는 골돌과로 가죽질이고 짧은 털이 많으며 8~10월에 익는다. 골돌과란 하나의 봉선을 따라 과피가 벌어지는 단단한 열매를 말하는데, 건개과의 일종으로 목단이나 작약 등이 그 예이다. 4. 꽃봉오리가 커서 탐스러우며 화단이나 분에 재배하여 관상용으로 인기가 좋다. 5. 목단피는 작약과의 다년생 낙엽관목인 목단의 뿌리 껍질이며 약재로 사용된다. 2) 목단(모란.. 2021. 10. 16. 목단(모란) 목단피 키우기 재배법 번식방법 심는시기 - 2편 목단 키우기 - 3편 1) 목단(모란) 재배방법 번식법 1. 포기나누기 포기나누기는 약재로 쓸 뿌리를 9월 중순~ 하순경에 수확하여 굵은 뿌리는 잘라내고 새싹을 2~3개씩 붙여 잔뿌리가 달린 채로 쪼개서 심는 방법이다. 이때 쪼갠 상처 부위와 약재로 쓰기 위해 굵은 뿌리를 자른 부위를 베노밀수화제 400배액으로 소독하거나 묻혀줘야 한다. 분주할 때 가지는 70~80cm길이로 잔가지가 2~3개 있고 수세가 강한 것이 좋다. 특히 많은 묘를 생산하려면 봄에 3~4년 이상 된 가지를 잘라주거나 30~40cm의 높이에서 원줄기에 환상박피를 해주면 지상부의 생육을 억제시켜 뿌리 부분에 세를 집중하게 되므로 많은 눈이 생긴다. 또한 가을에 낙엽이 진 직후에 바로 줄기를 잘라버리고, 포기 주위를 넓게 펴서 완숙된 퇴.. 2021. 10. 15.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7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