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56 지황(생지황/건지황/숙지황) 키우기 재배법 - 1편 지황키우기 1편 1) 지황 특성 1. 지황은 우리나라에서 전국적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지황은 현삼과에 속하며 잎자루가 있으며 타원형에 끝이 뭉뚝하고 잎 밑에 쐐기모양의 자국이 있고 줄기 및 잎 전체에 잔털이 많다. 2. 지황 꽃은 6~7월쯤에 홍자색으로 피며, 과실은 타원형의 삭과로서 9~10월경에 결실한다. 뿌리는 굵은 근경인데 이것을 약용으로 쓴다. 3. 주로 물빠짐이 좋고 토심이 깊은 식양토나 사양토로서 유기물 함량이 많은 곳이 좋다. 배수가 불량한 곳에서는 뿌리썩음병이 많아진다. 4. 지황은 조제법에 따라 땅에서 파내어 씻은 그대로를 생지황, 생지황을 그대로 말린 것을 건지황, 생지황을 쪄서 말리면 새까맣고 끈적끈적하게 된 것을 숙지황이라고 한다. 5. 지황은 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으로 구분.. 2021. 10. 12. 지황(생지황/건지황/숙지황) 키우기 재배법 & 효능 & 먹는법 - 2편 1) 지황 병충해 예방법과 제거 병해 지황의 주요 병은 뿌리썩음병이다. 7월 말부터 9월 초순 사이에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 발생하는데 낮에는 시들고 밤에는 생기를 얻다가 일주일쯤 지나면 죽어버린다. 병이 발생한 포기는 뽑아서 태우고 전 포장에 다이센M-45 400배 액을 충분히 살포해준다. 질소질 비료가 과용되지 않도록 하고 특히 연작지와 과습한 포장에서 뿌리썩음병이 많이 발생하므로 이어짓기를 피하고 배수 관리에 힘쓰자. 충해 청벌레와 거세미나방유충의 피해가 있으나 그 피해는 미미한 수준이다. 2) 지황 효능 & 채취와 가공법 지황은 뿌리를 사용한다. 지황 채취 수확 지황의 재배지역에 따라 수확 적기가 다르다. 보통 중부지방에서는 10월 중순~ 11월 중순이 채취 적기이다. 따뜻한 남부지방에서는 11월.. 2021. 10. 12. 백지(구릿대) 키우기 재배법 채종 파종 시기 - 1편 구릿대(백지) 키우기 2편 1) 백지(구릿대) 특성 1. 구릿대라고 불리는 백지는 미나리과에, 1m 전후로 자라며 전체에 털이 없고 뿌리줄기는 비후하여 수염뿌리가 많으며 잎은 깃꼴겹잎으로 많이 갈라진 모양이며 갈라진 잎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끝이 날카롭다. 2. 꽃은 복산형화서이고 꽃부리는 소형이며 꽃잎은 5개이고 5개의 수술과 1개의 하위 자방이 있다. 과실은 타원형으로 날개가 있으며 꽃은 백색이고 6~8월에 핀다. 3. 뿌리를 약용으로 쓰는데 생약명을 백지라고 한다. 4. 같은 속성의 약초로서 개구릿대, 어수리, 천백지도 있는데 모두가 맛은 맵고 따뜻하며 독이 없는 특징이 있다. 2) 백지(구릿대) 재배방법 구릿대는 성질이 강한 약초이므로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되지 않고 여느 지방 에서든지 수월하게.. 2021. 10. 8. 백지(구릿대) 키우기 재배법 수확시기 & 효능 & 먹는방법 -2편 1) 백지(구릿대) 재배방법 구릿대 재식법 봄에 파종하여 그해 가을에 수확하는 직파재배법의 일반적인 재식거리는 골 사이를 30~45cm, 포기사이를 20cm로하여 1주당 3~4알을 점뿌림한 후 발아하면 1주에 1본을 남기고 솎음질을 한다. 밀식을 하면 품질이 떨어지고 규격품 생산이 어려우므로 적정 재식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포인트다. 검정색 비닐을 피복하여 재배하면 다수확이 가능하고 품질이 좋은 약재가 생산되며 제초에도 유리하다. 구릿대(백지) 거름주기 직파재배 시에는 파종 당년에 수확하여야 하며, 그렇지 못하면 추대하여 뿌리의 속이 목질화되기 때문에 상품가치가 없어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비교적 비옥한 땅에 완숙퇴비를 많이 주어 당년에 수확한다. 시비량은 토양의 비옥도나 기상상태에 따라서 결정한다. 질소,.. 2021. 10. 8. 이전 1 ··· 54 55 56 57 58 59 60 ··· 1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