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57

후박 후박나무 키우기 재배법 파종 수확시기 & 효능 먹는법 1) 후박나무 특성 1. 후박은 상록 또는 낙엽 교목으로 높이 16m까지 자란다. 수피는 처음에는 회백색에 반질반질하다가 성장 후에는 회갈색이 된다. 2. 잎은 호생하고 우상의 맥이 있으며 초질이고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엽병의 길이는 1~2cm로서 항상 홍색이다. 3. 꽃은 원추화서로서 액생하고 많은 황록색의 양성화가 달리며 소엽편은 길이 1cm 정도이고 화피편은 6개로 좁은 타원형이다. 수피를 홍남피라 하여 한약재로 이용한다. 4.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후박나무와 왕후박나무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교목으로 일본목련과는 기원이 다른 식물이다. 2) 후박나무 재배법 우리나라의 경우 국내 어느 곳이나 잘 자라지만 자연 상태에서는 내한성을 고려하여 해안 지대에.. 2022. 2. 23.
황정(둥글레/진황정) 키우기 재배법 수확 심는시기 & 효능 먹는법 1) 황정(둥굴레) 특성 1. 황정은 진황정 또는 둥굴레로 불린다. 진황정은 우리나라 각지의 산과 들의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백합과의 다년생초본으로 키는 50~80cm 이며 끝이 옆으로 비스듬하게 자란다. 2. 줄기에 6개의 능각이 있으며 끝이 비스듬히 처진다. 잎은 어긋나기를 하여 2줄로 배열되며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8~13cm, 너비 10~25cm로서 밑 부분이 좁아져 원줄기에 달리며 끝이 점점 좁아지고 표면은 녹색이다. 3. 꽃은 푸른색이 도는 흰색으로 5월에 피고 3~5개 때로는 1개가 잎겨드랑이에 산형 또는 산방형으로 달리며 길이 2cm 정도로 통형이다. 4. 열매는 검은 빛을 띤 녹색으로 밑으로 처지며 9~10월에 둥근 모양으로 검게 익는다. 2) 황정(둥굴레) 재배법 1. 황.. 2022. 2. 22.
황금(속썩은풀) 키우기 재배법 채종 파종 수확시기 & 효능 먹는법 1) 황금 특성 1. 황금은 식물 전체에 털이 나 있고 줄기는 모여 나며 곧게 섰거나 비스듬히 올라가는 모양으로 여러 갈래로 갈라졌다. 잎은 마주나며 거의 잎자루가 없고 피침형에 잎 밑이 뭉뚝하거나 날카롭다. 2. 꽃은 7~8월에 피고 자줏빛이 돌며 총상꽃차례로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다. 열매는 둥그스름하면서 여위니 모양으로 9~10월에 익는데 꽃받침 안에 들어 있다. 3. 한방에서는 황금 뿌리를 해열, 이뇨, 지사, 이담, 소염제로 이용하며 농가에서는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4. 황금 뿌리의 색깔은 황갈색을 띄며 1년생은 주로 주근이 비대하고 다년생은 곁뿌리들도 비대해지는데 뿌리는 한약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조제 식건재는 충실하고 쓴맛이 강한 것이 상품이다. 2) 황금(속썩은풀) 재.. 2022. 2. 7.
택사(쇠태나물 질경이택사) 키우기 재배법 파종 수확 시기 효능 1) 택사 특성 1. 택사는 온난하고 습윤한 기후에 적합하다. 주로 연못이나 늪에 야생하고 있다. 2. 택사는 쇠태나물이라고도 하며 잎은 뿌리에서 모여 나는 근생엽이고 잎자루는 밑부분이 넓어져 서로 감싸고 있으며 길이는 택사가 15~20cm, 질경이택사는 30cm 내외다. 3. 꽃은 7~9월에 흰색으로 돌려난다. 꽃이삭은 잎 사이에서 나와서 1m 정도로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며 마디에 꽃이 돌려붙지만 전체적으로는 원추꽃차례로 된다. 꽃잎은 3개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둥근 모양이며 밑부분은 노란색이다. 꽃대는 길이 70~80cm 내외이고 많은 꽃이 돌려나서 여러 개의 층을 이루는 윤생 총상화서로서 여기에 흰 꽃이 피는데, 택사는 꽃대가 잎 중앙부에서 올라오는 반면, 질경이택사는 잎 사이에서 여러 개가.. 2022. 2. 4.
식방풍(갯기름나물) 키우기 재배법 파종 수확 심는시기 효능 먹는법 1) 식방풍 특성 식방풍은 높이 60~100cm까지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털이 없으며 가지가 많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녹색을 띠며 육질이 두껍고 광택이 있다. 6~7월에 가지와 줄기 끝의 꽃자루가 우산 모양으로 갈라져 산경을 이룬다. 이 산경 위에 다시 20~30개의 작은 꽃자루가 갈라져 소산경을 이루며 복산형으로 개화한다. 길고 둥근 꼴의 방풍 열매는 흑갈색으로 안에 종자가 천 알가량 들어 있는데 무게가 4g 정도이다. 2) 식방풍 재배법 1. 갯기름나물이나 갯방풍은 비교적 따뜻한 중남부지역에서 잘 자라므로 중남부의 해안가가 재배 적지이고, 원방풍(병풍나물)은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므로 고랭지나 중북부의 준고랭지가 재배 적지이다. 2. 갯기름나물이나 갯방풍은 사질양토나 미사질토로서 습기가.. 2022. 2. 4.
고양이 수신증 - 원인 증상 검사 치료법 고양이 수신증 수신증이란? & 원인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막혀서 배출되지 못하면 신우나 신우 게실에 차게 된다. 이렇게 축적된 소변의 양이 늘어나면 점차 신우가 팽창해 신장 피질부를 압박하고 허혈성 괴사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를 바로 수신증이라고 한다. 1. 한쪽에만 나타나는 수신증은 한쪽 요관이나 신장이 막혔다는 뜻이며, 양쪽에 나타나는 수신증은 요도와 방광 혹은 양쪽 요관이 모두 막혔다는 뜻이다. 한쪽에만 수신증이 오면 다른 신장은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다 수신증의 상태가 심각해진 뒤 보상성 비대가 일어난다. 2. 반면 양쪽 요관이 모두 막히면 고양이는 수신증이 뚜렷하게 드러나기 전에 급성 요독으로 사망하게 된다. > 이런 수신증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선천성 기형이나 요관 결석, 종양 등이 있는데 .. 2022. 1. 17.
고양이 만성 신부전 - 증상 원인 진단 검사 치료법 7가지 & 예후 고양이 만성 신부전 원인 고양이 만성 신부전은 여러 다른 질병 혹은 여러 해에 걸친 신장 손상으로 나타난 결과다. 이런 질병이나 손상에는 신우신염과 유독 물질 접촉, 정장적인 노화 혹은 외상 등이 포함되지만 정확한 병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질병으로 손상을 입은 경우 신장은 질병 이전의 상태로 기능을 회복하기 어렵다. 이렇게 망가진 신장은 혈액 속의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어 신부전으로 발전하며 결국 만성 신부전에 걸리게 된다. 증상 집사들은 흔히 만성 신부전증 초기에 고양이의 화장실을 청소하다가 배뇨량이 늘고 치워야 할 고양이 모래가 많아진 것을 보고 고양이가 물을 많이 마신다는 사실을 눈치챈다. 고양이는 본래 물을 잘 마시지 않는 동물인데도 사람들은 고양이가 물을 많이 마시게 됐다며.. 2022. 1. 16.
강황 - 효능 부작용 섭취량 먹는법 활용법 1) 강황 효능 강황은 인체가 염증을 더 잘 다룰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염증을 없애는 '소염제'보다는 '염증 조절제'라는 표현이 더 정확하다. 강황은 프로스타글란딘을 만드는 지방산을 억제하여 염증의 유익한 면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몸이 다앙한 방식으로 스스로 치유하도록 돕는다. 예를들어 해독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글루타치온 생성을 늘려서 활성산소로 인한 손상을 줄이고, 특정 염증 효소들을 차단한다. 소화와 간 기능 개선 강황은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간 건강을 보조한다. 특히 꾸준히 섭취하면 효과가 더욱 커진다. 우리의 간은 혈액의 여과작용을 관장하는 놀라운 기관이다. 대사 노폐물을 분해하고 청소하며, 에너지 생성에 중요한 글리코겐을 저장하고, 지방의 소화를 돕는 담즙을.. 2022. 1. 14.
생강 - 효능 부작용 먹는법 섭취량 활용법 / 생강레몬차 효능 만들기 1) 생강 효능 생강은 열을 내고 건조시키는 성질이 있어서 감기나 몸이 습한 증상에 좋다. 특히 호흡기관, 소화기관, 순화기관에 좋다. 또한 관절염과 같은 만성 염증성 통증을 가라앉히는 데도 적합한 탁월한 소염제다. 생강은 따뜻함과 뜨거움을 오가며, 건조한 성질을 가졌다. 신선한 생강은 따뜻한 성질을 지니며, 말린 생강은 뜨거운 성질을 지닌다. 자극제 & 상승제 생강은 자극제다. 혈액순환과 소화를 촉진하고 체내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에너지를 이동시킨다. 보통 생강은 다른 음식과 제조약에 적은 양을 첨가하는 식으로 쓰인다. 그 이유는 생강의 자극제 성질이 상승제로 작용해서 효능을 배가하기 때문이다. 생강은 혈관을 확장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함으로써 혈액과 혈액 속에 있는 다른 식품 성분들을 더욱 빠르고 효율.. 2022. 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