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308 파드득나물(반디나물) 키우기 재배 파종 방법 참나물과 구분법 1) 파드득나물(반디나물) 특성 1. 파드득나물은 '반디나물'이라고도 하고 '미츠바', '삼엽채', '개량참나물'이라고도 불린다. 웅리나라 산채인 참나물과 생김새가 유사해서 혼동되는 일이 많다. 2. 차광 재배를 해야 부드러운 잎을 얻을 수 있다. 다년생이니 한곳에서 오래 재배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섬세하고 은근한 향을 지니고 있다. 3. 한국요리와도 잘 맞고 한국식 조리에도 적합하다. 나물, 생채, 볶음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비타민 A와 칼륨, 칼슘이 풍부하고, 꽃대와 잎 모두 활용할 수 있으며, 어린잎부터 성숙한 잎까지 모두 활용이 가능하다. 4. 파드득나물은 참나물과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흡사해서 시중에서는 참나물이라고 하고 팔기도 한다. 참나물은 산채로 귀하고 가격이 비싼데, 저렴.. 2021. 7. 13. 채심 공심채(모닝글로리) 키우기 파종 심는시기 재배방법 요리 1) 채심(공심채&모닝글로리) 특성 1. 중국이 원산지로 '초이삼', '차이신'등으로 불리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채심', '공심채', '모닝글로리'로 불린다. 잎, 줄기, 꽃까지 먹는 꽃채소로 맛과 영양이 다 우수해 텃밭재배용으로 강추다. 2. 꽃을 먹는 채소이나 꽃을 너무 키우면 줄기가 질겨지기 때문에 꽃이 3개 이내로 피었을 때 수확하는 것이 좋으며 수확시기를 놓치면 채종용으로 기른다. 3.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채소'라는 이름이 붙을 정도로 한국인의 입맛에도 맞는 채소다. 요리법이 다양하고 어느 요리에나 텃밭 채소로 훌륭하다. 4. 엇갈이, 열무와 재배 방법이 비슷하며 터널하우스에서 재배하면 수확기를 앞당기거나 연장할 수 있다. 채심은 소립종, 대립종, 조생종, 만생종 등 여러 종류가 있다. 5. .. 2021. 7. 13. 시금치 키우기 여름 겨울 파종 심는시기 재배방법 1) 시금치 특성 1. 생육기간이 짧고 연중 재배가 가능한 작물이다.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며 국내 품종은 월동도 가능하다. 2.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재배가 가능한 작물이라 텃밭에서 많이 재배한다. 3. 시금치는 비타민A가 많고 철분과 칼슘 함유량이 많아서 성장기 어린이와 임산부에게 가장 좋은 채소 중 하나다. 4. 뿌리가 땅속 깊이 자라므로 땅을 깊이 갈아주고 제때 솎아가며 길러야 한다. 5. 봄, 여름, 가을 파종에 각각 적합한 품종이 있다. 씨앗 구입 시 반드시 재배시기에 맞는 품종을 선택해야 한다. 6. 발아적온은 15~20℃이다. 그러나 4~10℃정도의 저온에서도 발아하니 일찌감치 파종이 가능하고 고온에서는 발아율이 절반으로 떨어진다. 7. 산성토양에서는 생육이 나빠지기 때문에 반.. 2021. 7. 8. 아욱 키우기 파종 심는시기 수확 재배방법 1) 아욱 특성 1. 아욱과에 속하는 일년초로 중국을 중심으로 많이 재배하며 유럽 남부에서는 약초로 재배되어 왔다. 2. 국거리로 한식요리에 잘 맞고 재배가 수월해 텃밭에서 기르기에 필수적인 작물이다. 3. 가을철 아욱은 문 걸어놓고 먹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맛이 좋으며 영양가는 시금치와 맞먹는다. 4. 아욱은 키가 커서 밭 가장자리에 심는다. 꽃이 피면 아름답고, 밭의 작물을 탐내는 시선도 차단해준다. 5. 토양 적응성이 넓어 거의 토양을 가리지 않는편이나 물빠짐이 좋고 유기물이 풍부한 기름진 흙이 좋다. 6. 연중 파종이 가능하나 노지재배는 4월에 파종하여 6~7월에 수확하는 봄 재배와 9월에 파종하여 11월 중순까지 수확하는 가을 재배가 있다. 2) 아욱 재배 시기 봄에 일찍 파종하면 5월부터 본.. 2021. 7. 7. 이전 1 ··· 66 67 68 69 70 71 72 ··· 7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