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308 근대 키우기 파종시기 재배법 수확방법 요리법 1) 근대 특성 1. 성분이 시금치와 비슷하여 비타민A와 무기질이 많으며 수산이 많아 익혀 먹으면 체내 흡수율을 높일 수 있어 된장국으로 많이 활용된다. 여름에 더위에 약한 시금치 대용으로 많이 이용된다. 2. 사철 재배가 가능하다. 월동이 가능한 남쪽은 겨울에도 재배가 가능하다. 장마 때 많이 죽어 재파종하는 경우가 많지만 한여름에 재파종하기보다는 잘 관리해서 겨울까지 재배하는 것이 훨씬 좋다. 3. 병충해 피해가 별로 없어 초보자도 기르기 쉽고, 갈무리를 잘하면 수확이 없는 겨울에도 즐길 수 있다. 4. 생육기간이 길기 때문에 밑거름도 중요하지만 장마 이후 웃거름을 충분히 주면 회생해서 겨울 전까지 수확이 가능하다. 5. 토양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유기물과 수분이 넉넉한 밭에서 잘 자란다. 근대는 잎.. 2021. 7. 5. 잎들깨 깻잎 키우기 파종시기 재배방법 수확방법 1) 잎들깨 1. 가장 친숙한 쌈채소로 깻잎과 들깨를 주는 작물이다. 독특한 향으로 특히 고기를 먹을 때 맛을 돋우어 인기가 많다. 깻잎 장아찌로 만들어 1년 내내 먹을 수도 있고 재배도 쉽다. 2. 텃밭을 가꾸는 것으로는 들기름을 짤 정도의 양을 재배하지 못하기 때문에 잎들깨 재배를 기준으로 알아보도록 하겠다. 기름을 짜는 것이 목적이면 잎을 수확하지 않아야 제때 종자를 수확할 수 있다. 3. 꽃이 피기 시작하면 들깻잎은 더 이상 생기지 않고 열매에만 주력한다. 열매가 익는 시기엔 깻잎을 수확하면 안 되고 잎도 질겨진다. 4. 4~6월에 걸쳐 파종해서 9월 초까지는 잎을 먹고, 그 후에는 열매인 깨를 키워 먹는다. 깨로 이용하려고 한다면 최소한 5월 하순까지는 파종해야 한다. 너무 늦게 파종하면 미처 .. 2021. 7. 1. 쑥갓 키우기 파종시기 재배법 수확방법 1) 쑥갓 1. 성장이 빠르고 더위에도 추위에도 견디는 성질이 강해 겨울에도 10℃이상이면 재배가 가능하다. 2. 토양 적응성이 넓은 편이나 건조에 약해 유기질이 풍부하고 보수력 있는 흙이 적당하다. 3. 쑥갓은 많은 양이 필요한 주재료보다는 감초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채소다. 필요 이상의 대량 재배보다는 조금씩 여러 번에 걸쳐 파종하면서 연속 수확하는 것이 좋다. 4. 기온이 높아지고 낮이 길어지면 꽃대가 올라오는 생리적 특성이 있다. 5월에서 8월까지는 추대가 빨라지므로 수확을 제때 빨리 하는 것이 중요하다. 5. 키는 30~50cm 정도이며 재배 방법은 상추 재배와 비슷하다. 6. 재배기간은 쌈채소와 같거나 짧아 같은 두둑에 위치하는 것이 좋으며 키는 쌈채소보다 크고 아욱보다는 작다. 2) 쑥갓 밭.. 2021. 6. 30. 허브 포피(양귀비) & 피버퓨 재배 효능 활용 방법 1) 포피 특징 종류 재배 방법 1. 포피는 지중해 연안 또는 소아시아가 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양귀비'라고 불린다. 양귀비라는 이름은 당나라 현종의 왕후였던 양귀비의 아름다움에 비견할 만한 꽃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것이다. 2. 양귀비라고 하면 마약 양귀비를 떠올려서 꺼리는 사람도 많고 주변에서 보면 신고하는 경우도 있다. 포피는 원예용 양귀비와 마약 양귀비로 나뉜다. 마약 양귀비는 국내 재배가 금지되어 있고, 일반 양귀비는 원예용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다. 3. 우리나라에서는 붉은 꽃잎을 가진 야생 개양귀비가 많으나 전 세계에 아이슬란드 포피, 캘리포니아 포피 등 화려한 종류의 양귀비가 많다. 원예종의 경우 식물 전체에 작은 털이 나 있어 마약 양귀비와 쉽게 구분이 가능하다. 4. 양지 바른 곳이나 반.. 2021. 6. 28. 이전 1 ··· 67 68 69 70 71 72 73 ··· 7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