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건강308 택사(쇠태나물 질경이택사) 키우기 재배법 파종 수확 시기 효능 1) 택사 특성 1. 택사는 온난하고 습윤한 기후에 적합하다. 주로 연못이나 늪에 야생하고 있다. 2. 택사는 쇠태나물이라고도 하며 잎은 뿌리에서 모여 나는 근생엽이고 잎자루는 밑부분이 넓어져 서로 감싸고 있으며 길이는 택사가 15~20cm, 질경이택사는 30cm 내외다. 3. 꽃은 7~9월에 흰색으로 돌려난다. 꽃이삭은 잎 사이에서 나와서 1m 정도로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며 마디에 꽃이 돌려붙지만 전체적으로는 원추꽃차례로 된다. 꽃잎은 3개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둥근 모양이며 밑부분은 노란색이다. 꽃대는 길이 70~80cm 내외이고 많은 꽃이 돌려나서 여러 개의 층을 이루는 윤생 총상화서로서 여기에 흰 꽃이 피는데, 택사는 꽃대가 잎 중앙부에서 올라오는 반면, 질경이택사는 잎 사이에서 여러 개가.. 2022. 2. 4. 식방풍(갯기름나물) 키우기 재배법 파종 수확 심는시기 효능 먹는법 1) 식방풍 특성 식방풍은 높이 60~100cm까지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털이 없으며 가지가 많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녹색을 띠며 육질이 두껍고 광택이 있다. 6~7월에 가지와 줄기 끝의 꽃자루가 우산 모양으로 갈라져 산경을 이룬다. 이 산경 위에 다시 20~30개의 작은 꽃자루가 갈라져 소산경을 이루며 복산형으로 개화한다. 길고 둥근 꼴의 방풍 열매는 흑갈색으로 안에 종자가 천 알가량 들어 있는데 무게가 4g 정도이다. 2) 식방풍 재배법 1. 갯기름나물이나 갯방풍은 비교적 따뜻한 중남부지역에서 잘 자라므로 중남부의 해안가가 재배 적지이고, 원방풍(병풍나물)은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므로 고랭지나 중북부의 준고랭지가 재배 적지이다. 2. 갯기름나물이나 갯방풍은 사질양토나 미사질토로서 습기가.. 2022. 2. 4. 강황 - 효능 부작용 섭취량 먹는법 활용법 1) 강황 효능 강황은 인체가 염증을 더 잘 다룰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염증을 없애는 '소염제'보다는 '염증 조절제'라는 표현이 더 정확하다. 강황은 프로스타글란딘을 만드는 지방산을 억제하여 염증의 유익한 면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몸이 다앙한 방식으로 스스로 치유하도록 돕는다. 예를들어 해독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글루타치온 생성을 늘려서 활성산소로 인한 손상을 줄이고, 특정 염증 효소들을 차단한다. 소화와 간 기능 개선 강황은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간 건강을 보조한다. 특히 꾸준히 섭취하면 효과가 더욱 커진다. 우리의 간은 혈액의 여과작용을 관장하는 놀라운 기관이다. 대사 노폐물을 분해하고 청소하며, 에너지 생성에 중요한 글리코겐을 저장하고, 지방의 소화를 돕는 담즙을.. 2022. 1. 14. 생강 - 효능 부작용 먹는법 섭취량 활용법 / 생강레몬차 효능 만들기 1) 생강 효능 생강은 열을 내고 건조시키는 성질이 있어서 감기나 몸이 습한 증상에 좋다. 특히 호흡기관, 소화기관, 순화기관에 좋다. 또한 관절염과 같은 만성 염증성 통증을 가라앉히는 데도 적합한 탁월한 소염제다. 생강은 따뜻함과 뜨거움을 오가며, 건조한 성질을 가졌다. 신선한 생강은 따뜻한 성질을 지니며, 말린 생강은 뜨거운 성질을 지닌다. 자극제 & 상승제 생강은 자극제다. 혈액순환과 소화를 촉진하고 체내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에너지를 이동시킨다. 보통 생강은 다른 음식과 제조약에 적은 양을 첨가하는 식으로 쓰인다. 그 이유는 생강의 자극제 성질이 상승제로 작용해서 효능을 배가하기 때문이다. 생강은 혈관을 확장하여 혈액 순환을 촉진함으로써 혈액과 혈액 속에 있는 다른 식품 성분들을 더욱 빠르고 효율.. 2022. 1. 13.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77 다음 반응형